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수단 축구 국가대표팀

덤프버전 :



파일:external/upload.wikimedia.org/Sudan_FA_%28logo%29.png
수단 축구 국가대표팀
منتخب السودان الوطني لكرة القدم
정식명칭[1]منتخب السودان الوطني لكرة القدم
FIFA 코드SDN
FIFA 랭킹130위[2]
협회수단 축구 협회 (SFA)
연맹아프리카 축구 연맹 (CAF)
지역연맹동아프리카 축구 연맹 (CECAFA)
감독파일:가나 국기.svg 제임스 아피아 (James Appiah)
주장살라 네메르 (Salah Nemer)
최다출전자무하나드 엘 타히르 (Muhannad El Tahir) - 84경기
최다득점자나스르 에딘 압바스 (Nasr Eddin Abbas) - 27골
홈 구장하르툼 스타디움 (Khartoum Stadium, 23,000석)
첫 국제경기 출전VS 파일:에티오피아 제국 국기.svg 에티오피아 (5:1 승)
파일:수단 공화국 국기.svg 수단 (1956년 5월 13일)
최다 점수차 승리VS 파일:external/upload.wikimedia.org/320px-Flag_of_Muscat.svg.png 오만 (15:0 승)
파일:시리아 국기.svg 이집트 카이로 (1965년 9월 2일)
최다 점수차 패배VS 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대한민국 (0:8 패)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대한민국 서울 (1979년 9월 8일)
별칭Falcons of Jediane (사막의 매)
네이션스컵진출 9회, 우승 1회 (1970)
올림픽진출 1회 (1972)

유니폼어웨이
상의빨강하양
하의빨강하양
양말빨강하양



1. 개요[편집]


수단 공화국의 축구 국가대표팀이다. 감독은 에자키 바두이다. 사막의 매들(Falcons of Jediane)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.

월드컵 본선에는 한 번도 오르지 못하였다. 네이션스컵은 1970년 대회에서 우승하였다.

과거의 대륙 강호였지만, 현재는 나라 규모에 비해 너무 침체된 대표팀이다. 1970년대 전성기를 달렸으며,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, 1972년 올림픽 본선 출전 등 꽤 실력이 좋았다. 그러다가 수단 국내사정이 안좋아지고 점차 축구에 신경쓰지 않게 되면서 성적도 급락. 현재는 어쩌다 한번씩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팀이 되어버렸다. 남수단의 독립 이후에 더 약해져 2013년 이후에는 2021년까지 네이션스컵 본선도 진출하지 못할 정도로 실력이 떨어졌다.

수단 선수들은 유독 자국리그에서 뛰며[3] 해외로 진출하더라도 주변 국가인 이집트 또는 알제리로 진출하는 경향이 있다.

이마저도 대부분 수단의 축구선수들은 사우디아라비아 및 카타르와 같은 걸프 산유국으로 전부 이민을 가는 경우가 많다. 이들은 자국리그보다 걸프 산유국의 국가대표로 경기 뛰는것이 돈을 많이 벌기 때문이며, 언어 소통 부분에서도 같은 아랍권이라 언어가 잘 통하는 점도 한몫하는 편.

유명 선수로는 루마니아 출신의 귀화선수 야신 하메드가 있다. 이 외에도 대표팀에 소집되기도 하였던 피터보로 유나이티드의 공격수인 모하메드 에이사가 있다.

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 본선[4]에는 진출했으나, 1무 2패로 16강에 실패했다.(20등)[5]

2. 역대전적[편집]



2.1. FIFA 월드컵[편집]


연도결과순위경기승점득점실점
파일:우루과이 국기.svg
1930년 우루과이
독립 이전(영국의 지배)
파일:이탈리아 왕국 국기.svg
1934년 이탈리아
파일:프랑스 국기.svg
1938년 프랑스
파일:브라질 국기.svg
1950년 브라질
파일:스위스 국기.svg
1954년 스위스
파일:스웨덴 국기.svg
1958년 스웨덴
기권
파일:칠레 국기.svg
1962년 칠레
파일:잉글랜드 국기.svg
1966년 잉글랜드
파일:멕시코 국기.svg
1970년 멕시코
본선 진출 실패[16개국]
파일:독일 국기.svg
1974년 서독
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
1978년 아르헨티나
기권
파일:스페인 국기.svg
1982년 스페인
본선 진출 실패[24개국]
파일:멕시코 국기.svg
1986년 멕시코
파일:이탈리아 국기.svg
1990년 이탈리아
파일:미국 국기.svg
1994년 미국
기권
파일:프랑스 국기.svg
1998년 프랑스
본선 진출 실패[32개국]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파일:일본 국기.svg
2002년 한일
파일:독일 국기.svg
2006년 독일
파일: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.svg
2010년 남아공
파일:브라질 국기.svg
2014년 브라질
파일:러시아 국기.svg
2018년 러시아
파일:카타르 국기.svg
2022년 카타르
파일:캐나다 국기.svg 파일:미국 국기.svg 파일:멕시코 국기.svg
2026년 북미
?????????
합계본선진출 없음0/22[6]



2.2. 아프리카 네이션스컵[편집]


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: 18위
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
파일:수단 공화국 국기(1956-1970).svg
1957년 수단
4강3위1001120
파일:시리아 국기.svg
1959년 아랍연합공화국
준우승2위2101223
파일:에티오피아 제국 국기.svg
1962년 에티오피아
예선 탈락
파일:가나 국기.svg
1963년 가나
준우승2위3111654
파일:튀니지 국기.svg
1965년 튀니지
예선 탈락
파일:에티오피아 제국 국기.svg
1968년 에티오피아
파일:수단 공화국 국기(1956-1970).svg
1970년 수단
우승1위54018312
파일:Flag_of_Cameroon_(1961-1975).svg
1972년 카메룬
조별리그7위3021462
파일:이집트 국기(1972-1984).svg
1974년 이집트
예선 탈락
파일:에티오피아 국기 (1975–1987).svg
1976년 에티오피아
조별리그6위3021342
파일:가나 국기.svg
1978년 가나
기권
파일:나이지리아 국기.svg
1980년 나이지리아
예선 탈락
파일:리비아 국기(1977–2011).svg
1982년 리비아
불참
파일:코트디부아르 국기.svg
1984년 코트디부아르
예선 탈락
파일:이집트 국기.svg
1986년 이집트
기권
파일:모로코 국기.svg
1988년 모로코
예선 탈락
파일:알제리 국기.svg
1990년 알제리
파일:세네갈 국기.svg
1992년 세네갈
파일:튀니지 국기.svg
1994년 튀니지
파일: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.svg
1996년 남아공
파일:부르키나파소 국기.svg
1998년 부르키나파소
예선 도중 기권
파일:가나 국기.svg 파일:나이지리아 국기.svg
2000년 가나/나이지리아
불참
파일:말리 국기.svg
2002년 말리
예선 탈락
파일:튀니지 국기.svg
2004년 튀니지
파일:이집트 국기.svg
2006년 이집트
파일:가나 국기.svg
2008년 가나
조별리그16위3003090
파일:앙골라 국기.svg
2010년 앙골라
예선 탈락
파일:가봉 국기.svg 파일:적도 기니 국기.svg
2012년 가봉/적도 기니
8강8위4112474
파일: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.svg
2013년 남아공
예선 탈락
파일:적도 기니 국기.svg
2015년 적도 기니
파일:가봉 국기.svg
2017년 가봉
파일:이집트 국기.svg
2019년 이집트
파일:카메룬 국기.svg
2021년 카메룬
조별리그20위[7]3012141
파일:코트디부아르 국기.svg
2023년 코트디부아르
예선 탈락
파일:모로코 국기.svg
2025년 모로코
?????????
파일:케냐 국기.svg 파일:탄자니아 국기.svg 파일:우간다 국기.svg
2027년 케냐/탄자니아/우간다
?????????
합계우승(1회)9/31277713294228


2.3. FIFA 아랍컵[편집]


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
파일:레바논 국기.svg
레바논 1963
불참
파일:쿠웨이트 국기.svg
쿠웨이트 1964
파일:이라크 국기.svg
이라크 1966
파일:사우디아라비아 국기.svg
사우디아라비아 1985
파일:요르단 국기.svg
요르단 1988
파일:시리아 국기.svg
시리아 1992
파일:카타르 국기.svg
카타르 1998
조별리그8위2101353
파일:쿠웨이트 국기.svg
쿠웨이트 2002
조별리그7위4112454
파일:사우디아라비아 국기.svg
사우디아라비아 2012
조별리그5위3120425
파일:카타르 국기.svg
카타르 2021
조별리그16위30030100
합계조별리그(4회)4/1012336112212


2.4. 대한민국과의 역대 전적[편집]


대한민국과는 1979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에서 맞붙어 0:8로 대패[8]를 당한 것이 2023년 현재까지 두팀간의 유일한 A매치 맞대결이다. 여담으로 이 대패는 수단의 역대 A매치 최다 점수차 패배로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고 남아있다.

일자장소스코어수단 득점자대한민국 득점자비고
1979년 9월 8일동대문운동장0:8
(0:6)
-박성화[2골]
라만 무흐타르[자책골]
신현호[2골]
허정무
조광래
유건수
1979 박대통령배 쟁탈 국제축구대회
총 전적1전 1패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04 09:19:32에 나무위키 수단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아랍어[2] A B C 2023년 10월 기준https://www.fifa.com/fifa-world-ranking/SDN[3] 그래도 대표팀에 비해서 수단 리그는 아프리카내에서 실력이 좋은 편에 속한다.[4] 24개국 본선[5] 알제리와 공동 20등[16개국]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.[24개국]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.[32개국]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.[6]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[7] 알제리와 공동 20위[8] 사우디아라비아가 2002년 삿포로에서 이 점수로 독일에게 패배했다.[자책골]